서울시에 올해 첫 폭염경보가 발령된 10일 종로구 청계천의 반려견 거리에선 새와 토끼 등 반려동물들이 야외 케이지 안에 갇혀 햇빛을 받고 있었다. 좁은 공간에 빼곡하게 붙어있는 동물들은 폭염 속에서 지친 형태이었다.
폭염경보는 최고 체감온도 35도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계속되거나 더위로 큰 피해가 전망될 때 내려진다. 그러나 동물들을 위한 선풍기나 에어컨 똑같은 냉방시설은 가동되고 있지 않았다. 한 상인은 "그래도 이 정도면 별로 안 더운 날"이라며 "매일 관리를 해주기 덕분에 별문제는 없다"고 하였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1700만명을 넘는다. 하지만 반려동물 경매자들의 동물 복지와 권리에 대한 인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선언한 2024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의 말에 따르면 응답자 3000명 중 74.3%가 '폭염과 한파에 별도의 냉난방 장치가 없는 장소에서 사육하는 행위'에 대해 "동물 학대"라고 응답하였다. 또 87.3%는 동물학대에 대한 처벌과 사육금지가 요구된다고 봤다.
청계천 애완고양이 거리 외에도 전통시장에서 앵무새나 토끼, 햄스터 똑같은 반려동물을 열악한 배경에서 매매하는 펫푸드 것을 알 수 있었다. 앵무새를 키우는 박모씨(57)는 "지난주 세종 등촌시장에 갔는데, 10마리가 넘는 앵무새들이 작은 새장 안에 들어가 있었다"며 "물이나 사료 위생 상황도 너무 별로여서 생각이 좋지 않았다"고 했다.
춥고 더운 야외가 아닌 실내여도 동물이 지내기 적합하지 않은 환경인 것은 마찬가지다. 이날 찾은 울산의 한 대형마트 반려동물 판매 코너엔 '금화조 1쌍 2만원'이란 가격표가 붙어있었다. 새들은 비좁은 새장 안에 있었고, 빛과 소음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다. 지인은 잘 안보이고 연락처와 함께 욕구시 연락하라는 종이만 붙어있었다.